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11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 29
30
Tags 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권박사의 채워가는 인생

배출가스 염화수소(HCl) 측정: 적정법 vs 이온크로마토그래피(IC)법 완전 가이드 본문

카테고리 없음

배출가스 염화수소(HCl) 측정: 적정법 vs 이온크로마토그래피(IC)법 완전 가이드

Joe-kwon 2025. 8. 8. 13:44

배출가스 염화수소(HCl) 측정: 적정법 vs 이온크로마토그래피(IC)법 완전 가이드

대기측정대행업 관점에서 시료채취·전처리·분석·환산·QA/QC까지 한 번에 정리

배출가스 중 염화수소(HCl)는 공정 진단과 법규 준수 점검에서 핵심 항목입니다. 국내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분석법은 적정법이온크로마토그래피(ion chromatography, IC)법 두 가지입니다. 아래에서는 두 방법의 원리, 시료채취 구성, 전처리, 계산, 간섭 및 품질관리까지 실무 기준으로 상세히 비교합니다.

 

1) 측정 개요

  • 대상: 굴뚝 배출가스(건식/습식 공정)
  • 공통 원칙: 등속흡인 유지, 임핀저/흡수액으로 HCl(g) → Cl⁻(aq) 전환·포집
  • 목적: 법적 배출기준 평가, 방지시설 성능 확인, 공정 진단·개선

2) 두 방법의 원리 요약

적정법(Titration)

  • 흡수액(증류수 또는 희석 NaOH)에 흡수된 Cl⁻AgNO₃ 침전적정(Mohr/Volhard) 또는 산·염기 역적정으로 정량
  • 장점: 저비용·장비 간단
  • 단점: 종말점 주관성, 공존이온 간섭, 저농도 한계

이온크로마토그래피(IC)

  • 음이온교환 컬럼으로 Cl⁻ 분리 후 억제 전도도 검출로 정량
  • 장점: 감도·선형성·재현성 우수, 다종 이온 동시분석
  • 단점: 초기 투자/유지비, 전처리·기기관리 필요

3) 시료채취(공통) 구성

  • 프로브: 유리 또는 PTFE 라이너(부식·흡착 최소화)
  • 먼지 제어: 가열 필터(120–160 ℃) 또는 PTFE 필터
  • 임핀저 배열: 건조 임핀저 → 흡수액 1–2개(증류수 또는 0.01–0.1 N NaOH) → 실리카겔
  • 채취 조건: 등속흡인 ±10% 이내, 30–120분, 0.5–2.0 Nm³
  • 보존/수송: PP/PE 용기, 4 ℃ 냉장, 가급적 7일 내 분석

4) 적정법 분석 절차

  1. 시약 표정: AgNO₃(아르젠토메트리), H₂SO₄/NaOH(산·염기) 표준화
  2. 시료 준비: 임핀저 합액 균질화, 필요 시 0.45 µm 여과
  3. 본 적정: Mohr/Volhard 또는 역적정, 지시약·pH 조건 최적화
  4. 블랭크 보정: 현장/실험실 블랭크 동일 절차
  5. 계산: 적정소모량×농도×계수 → Cl⁻ mg/L → HCl mg/Nm³
유의: Br⁻·I⁻·SCN⁻ 등 공존이온, 탁도·색, 금속이온에 의한 종말점 오판 가능. 저농도에서는 검출한계가 커 정확도 저하.

5) 이온크로마토그래피(IC)법 분석 절차

  1. 기기 조건: 음이온교환 컬럼 + 억제기 + 전도도 검출, 탄산염계 용리액
  2. 검량: 다점 검량(r² ≥ 0.995), CCV/CCB로 검량 유효성 확인
  3. 전처리: 0.2–0.45 µm 여과, 필요 시 희석. NaOH 흡수액 시 동일 매트릭스 표준 또는 중화·희석
  4. 주입/정량: 보유시간 일치 확인, 피크면적으로 정량
  5. QA/QC: 방법 블랭크, 스파이크 회수율(75–125%), 중복주입 RPD(≤10–20%)

6) 정확도·간섭·검출한계 비교

구분 적정법 IC법
원리 Ag⁺-Cl⁻ 침전 또는 산·염기 역적정 음이온교환 분리 + 억제 전도도 검출
검출한계(실무) 수 mg/L 수준 수 µg/L–수십 µg/L
정확도·재현성 종말점·시약농도 의존, 숙련도 영향 큼 우수(검량·내장 QC 체계)
주요 간섭 Br⁻, I⁻, SCN⁻, 탁도·색, 금속이온 고염/강알칼리, 유기물, 입자
동시분석 불가(단일종 위주) 가능(Cl⁻·F⁻·NO₃⁻·SO₄²⁻ 등)
장비/운영비 낮음 높음(컬럼/억제기 등)

7) 환산·계산 식

(1) 용액 농도 → 질량

m(Cl⁻, mg) = C(mg/L) × V(L)

(2) Cl⁻ → HCl 환산(분자량 비 36.46/35.45 ≈ 1.0286)

m(HCl) = m(Cl⁻) × 1.0286

(3) 건식·표준상태 환산

C(HCl, mg/Nm³) = m(HCl, mg) / Vdry,std(Nm³)

8) QA/QC 체크리스트

현장(시료채취)

  • 등속흡인 ±10%, 노즐경/유속 계산 기록
  • 프로브·임핀저 누설시험
  • 온·압·습·O₂/CO₂ 동시 기록(건식 환산·산소보정 대비)
  • 현장 블랭크 채취

실험실(분석)

  • 다점 검량 및 CCV/CCB
  • 스파이크 회수율 75–125%
  • 중복주입 RPD ≤ 10–20%
  • MDL 주기 산정, 시약 표정/컬럼 성능 로그

9) 방법 선택 가이드

  • 저농도·정밀 평가/분쟁대비: IC 권장
  • 다종 음이온 동시분석: IC
  • 고농도 구간·저비용: 적정법(희석·안전 관리 우선)
  • 보고서 추적성·감사 대응: IC(전자 데이터·검량 기록 유리)

10) 트러블슈팅

적정법

  • 종말점 불명확: 여과·지시약 변경·pH 조건 재설정
  • 브롬화물 간섭: Volhard 간접법·전처리 또는 IC 전환
  • 과/부적정 방지: 자동적정기·미세뷰렛 활용

IC법

  • 피크 겹침/꼬리: 가드컬럼 교체, 용리액·유량 조정
  • 백그라운드 상승: 억제기 재생, CO₂ 유입 최소화
  • 포화: 희석 주입, 주입량 축소, 검량 범위 확장

11) 안전·환경·비용

  • 안전: 산성가스용 방독마스크, 부식성 응축수 주의, 유리 임핀저 취급 주의
  • 폐액: AgCl 슬러지는 특수폐기물로 분리, 고염 폐액 별도 관리
  • 비용: 적정법은 장비비 낮고 인건비 의존, IC는 초기투자+소모품 비용 있지만 데이터 신뢰성 높음

12) 요약

핵심 결론: 고정밀·저농도 평가 및 추적성은 IC가 우세, 단순·고농도 영역과 저비용은 적정법이 유리합니다. 두 방법 모두 등속흡인·흡수액 관리·블랭크/검량/스파이크QA/QC를 엄격히 지킬 때 결과 신뢰도가 확보됩니다.

#대기측정대행업 #염화수소 #HCl #적정법 #이온크로마토그래피 #IC #배출가스 #임핀저 #등속흡인 #QAQC #환경측정 #방지시설